Home AWS SAA 자격증 취득 후기 (게임 개발자 관점)
Post
Cancel

AWS SAA 자격증 취득 후기 (게임 개발자 관점)

AWS SAA 자격증 취득 후기 (게임 개발자 관점)


본 포스팅에서 자잘한 시험 정보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습니다.

1. 서론

게임 서버 개발자는 자바/코틀린 + 스프링을 사용해서 웹 개발을 하는 일반 IT 백엔드 개발자들과 결이 많이 다르다.

주관적으로,

웹 개발자는 이미 잘 만들어진 컴포넌트를 어떻게 조합해서 서버를 만드는지 `아키텍팅 대해 집중하는 느낌이고

게임 서버 개발자는 로우레벨 기술에 더욱 집중하는 느낌이다. 본인은 일반 컴퓨터공학과 출신이라 잘 모르지만, 게임과를 나오신 분들은 대부분 멀티 스레드, 소켓 모델(IOCP, Epoll), 락프리, 동기화 모델 같은 개념은 다 학습하고 오는것 같다.

위에서 말한 이유 때문에 웹 개발자들이랑, 게임서버 개발자들이 관심사가 많이 달라 공부하는 루트가 달라서 아직 모르는게 많은 주니어 레벨에서는 서로가 하는말이 이해가 잘 안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인프라나 아키텍팅 관련해서 공부가 하고싶기도 했고 이왕 공부하는김에 자격증도 따면 일석이조 아닌가 싶어서 시험을 보게됐다.

2. 게임서버 개발자가 SAA 자격증이 필요할까?

  • 게임 서버 개발자가 되려면 필요한 자격증인가? X
  • 게임 서버 개발자에게 유용한 자격증인가?
  • 인프라나 아키텍쳐에 공부할 겸 따면 도움이 되는가? O

요약하자면 위와 같다. 자격증을 딴다고 취업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쓸모가 없는 것도 아니다. 게임서버 개발자도 서버 개발자니까 AWS/GCP/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한다. 큰 회사에는 보통 인프라팀이 있어서 환경 구축과 유지보수에 도움을 주긴하지만 서버를 구성하고 개발환경을 구축하는건 직접 해야하니까. 분명히 필요한 지식이고 도움이 된다.

SAA 자격증을 따기위해 공부하다보면 가용성, 확장성, 부하 분산 등에 대한 키워드가 아주 많이 나온다. 안정적인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 무조건 고려해야할 요소지만 주니어 레벨에서 서버 아키텍팅을 경험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공부하게되는 장점이 있다.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로드밸런서를 사용하거나,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리전별로 서버를 둔다거나, 안정적인 저장소를 구축하기 위해 가용성이 높은 관리형 DB를 사용한다거나. SAA 자격증을 따기 위해 공부하다 보면 자세한 예시와 함께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공부하게 된다.

계속 공부하다보면 님들이 직접 구축하지말고 그냥 AWS의 비싸고 좋은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하는게 최고입니다~ 를 강요당하는 느낌이 있긴한데… 그래도 공부하는 목적으로 자격증을 따는건 추천한다.

다만 몇가지 중요한 점을 알려주자면.

  • 덤프는 굳이 돈주고 사지않아도 인터넷에 풀린게 꽤 많다.
  • 시험료 150 달러, 1년에 몇 번씩 50% 할인 쿠폰을 뿌릴 때가 있다. 그때 취득하자.
  • 이왕 취득하는거 공부하면서 따는걸 추천한다. 누구는 덤프에서 많이나왔다, 누구는 덤프에서 거의 안나왔다. 이러는데 어차피 공부하다보면 감 잡힌다.
  • AWS 서비스 잘 모르는 전공자 기준으로 (S3, EC2만 써봤음..) 3주 정도 열심히 공부해서 합격했다. 평일에 출/퇴근 하면서 관련 동영상 공부하고 퇴근하고 1~2시간 더 보고, 주말에는 5시간 정도 공부했다.
  • 일하면서 따려니까 솔직히 빡셌다… 다들 화이팅..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윈도우즈 환경에서 GUI를 지원하는 Linux 도커 컨테이너 띄우기

-